보고서
(2016.12~2017.04)풍력-전력저장 융복합 에너지시스템의 비즈니스모델 실현 가능성 제고 방안(수행완료)
글쓴이 관리자 (IP: *.176.22.203) 작성일 2018-04-01 21:57 조회수 6,621

용역명: 풍력-전력저장 융·복합 에너지 시스템의 비즈니스 모델 실현 가능성 제고 방안

발주기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참여연구원

- 연구책임자: 오시덕

- 연구참여자: 곽호영, 김진상, 서석호, 유영필, 송한라(이상 블루이코노미전략연구원),

                  백인수(강원대학교), 장길수(고려대학교), 정승민(한밭대학교), 송정훈(서울대학교)

연구용역기간: 2016.12~2017.04 (4개월)

연구내용

o (용역목적) 풍력-전력저장 융·복합 에너지시스템의 비즈니스모델의 검증 및 실현가능성 제고를 위한 정책 제안

o (과업대상)

- 풍력-전력저장 융·복합 에너지시스템의 비즈니스 모델 후보군의 실현가능성 평가

- 풍력-전력저장 융·복합 에너지시스템의 비즈니스 모델 후보군의 실현가능성 제고를 위한 정책 제안

- 풍력-전력저장 융·복합 에너지시스템의 비즈니스 모델 검증 고도화 방안의 연구

 

보고서 목차

1장 풍력-전력저장 융복합 에너지시스템의 비즈니스 모델 후보군의 실현 가능성 평가

1절 선행 연구결과 검토 및 비즈니스모델 후보군 도출

1. 커뮤니티 모델

2. 녹색섬 모델

3. 건물 모델

4. RPS 모델

2절 실현 가능성 평가지표 도출

1. 기술적 실현 가능성

2. 정책·제도적 실현 가능성

3절 비즈니스모델 후보군의 실현 가능성 평가

 

2장 풍력-전력저장 융·복합 시스템의 비즈니스 모델 후보군의 실현가능성 제고를 위한 정책 제안

1절 정책 수단의 발굴

1. 최근의 정책 및 제도 보완의 현황 조사 및 분석

2. 후보군별 정책 수단의 발굴

2절 비즈니스 모델 실현 가능성 제고를 위한 기술적 대안 검토

1. (Ramp Low부하) Net Load 비교

  가. (Ramp Low부하, A지역)·재생에너지 조합에 따른 Net load 비교

  나. (Ramp Low부하, B지역)·재생에너지 조합에 따른 Net Load 비교

  다. (Ramp Low부하, C지역)·재생에너지 조합에 따른 Net Load 비교

  라. (Ramp Low부하, D지역)·재생에너지 조합에 따른 Net Load 비교

  마. (Ramp Low부하, PV+ESS) 지역에 따른 Net Load 비교

2. (Ramp Mid부하) Net Load 비교

  가. (Ramp Mid부하, A지역)·재생에너지 조합에 따른 Net load 비교

  나. (Ramp Mid부하, B지역)·재생에너지 조합에 따른 Net Load 비교

  다. (Ramp Mid부하, C지역)·재생에너지 조합에 따른 Net Load 비교

  라. (Ramp Mid부하, D지역)·재생에너지 조합에 따른 Net Load 비교

  마. (Ramp Mid부하, PV+ESS) 지역에 따른 Net Load 비교

3. (Ramp High부하) Net Load 비교

  가. (Ramp High부하, A지역)·재생에너지 조합에 따른 Net load 비교

  나. (Ramp High부하, B지역)·재생에너지 조합에 따른 Net load 비교

  다. (Ramp High부하, C지역)·재생에너지 조합에 따른 Net load 비교

  라. (Ramp High부하, D지역)·재생에너지 조합에 따른 Net load 비교

  마. (Ramp High부하, PV+ESS) 지역에 따른 Net Load 비교

4. (PV+ESS) 지역별 Net Load 비교

3절 정책 수단의 유효성(경제적 실현 가능성) 평가

1. 비즈니스모델 후보군별 경제성 평가 기준 검토 및 설정

2. 후보군별 정책 수단의 유효성 평가(시뮬레이션) 및 결과 검토

4절 비즈니스 모델 후보군별 정책 제안

 

3장 풍력-전력저장 융·복합 에너지시스템의 비즈니스 모델 검증 고도화 방안의 연구

1절 풍력-전력저장 융·복합 에너지시스템 모델링 고도화

1. 풍력터빈 발전량 예측 모델링 고도화

  가. 중대형 풍력터빈 Yawing을 고려한 모델링 고도화

  나. 소형 풍력터빈 Passive YawFurling을 고려한 모델링 고도화

  다. 통계적 기법을 고려한 풍황에 따른 출력 예측 모델링 고도화

2. 풍력-ESS 용량 산정 모델링 고도화

  가. 풍력-ESS 출력 제어 기법 고도화

  나. 풍력-ESS 융복합 시스템을 위한 ESS 적정 용량 산정

2절 풍력-전력저장 융·복합 에너지시스템의 장기 운전 특성 검토

1. 장기 시계열 발전량 예측 모델링 고도화

  가. MCP 방법 분석 및 기상청 (AWS, ASOS) 자료 및 최인근 MERRA, MERRA2 재해석 자료 입수

  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시뮬레이션에 적용 가능한 단기실측 및 장기 재해석 자료 도출 및 MCP를 적용한 장기간 보정 자료 도출

  다. MCP 적용 타당성 분석 및 융·복합 비즈니스 모델 적용을 위한 시계열 발전량 자료획득

2. 장기 시계열 발전량을 적용한 운전 특성 검토

3Community Energy System 등 후보군의 실제 Site를 대상으로 한 기본 타당성 사례 검토(2건 이상)